본문 바로가기
주저리주저리

SMART PLS 4 사용하는 방법(첫번째 시간)

by 차이린 2023. 5. 30.
반응형

1. 연구 모형 및 설문 작성

이번 시간에는 통계 프로그램인 smart pls 4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 보려고 합니다.

이번 내용은 제가 속한 랩실 위주로 작성을 하였습니다. 본인과 맞지 않는 내용은 무시하시면 됩니다.
논문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겠지만 제가 속한 과에서는 논문을 쓸 때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로 구성을 합니다.

그리고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이용해서 연구 모형을 작성하고 각각의 변수들에 대한 설문 내용을 작성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통계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법에 대한 설명을 하려고 하는 것이므로 아래와 같은 연구 모형이 있다고 가정을 해 보겠습니다.

A1에는 설문이 4문항, B1에는 5문항, C1에는 4문항, D1에는 4문항, E1에는 5개의 설문이 있다고 가정을 하고 이것을 SMART PLS 4로 돌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모형 smaple

 

2. SMART PLS 실행

1) Project 생성

위와 같은 연구 모형으로 설문을 받았다면 SMART PLS 4를 실행합니다.

제일 먼저 New project를 실행한 후, project 이름을 정해줍니다. 저는 지금 test라는 이름으로 생성을 했습니다.

project 생성

 

그렇게 하면 project 이름 아래에 import data file과 Create model이라는 링크가 생성이 됩니다.

 

2) 통계 데이터는 CSV나 TXT로 저장

여기서 import data file을 클릭해서 본인이 받은 통계 파일을 가져옵니다. 설문은 대부분 네이버나 구글 설문을 이용해서 설문을 받으실 겁니다. 여기서 엑셀을 이용해서 data file을 만들 때 csv나 txt 파일로 생성을 해야 smart pls 4에서 불러올수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import data file에서 불러올 수 있는 파일의 확장자 그림입니다. 그러므로 통계파일을 저장할 때 csv나 txt 파일로 저장을 하셔야 smart pls 4에서 불러올 수가 있습니다. 혹시나 엑셀로 저장을 했다면 Excel 프로그램으로 파일을 열어서 다른 이름으로 저장에서 "CSV( 쉼표로 분리)"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csv나 txt로 저장

 

3) Navigation에서 통계 데이터의 개수 등을 확인한 후 Back

import를 하고 나면 Navigation에서 몇개의 데이터를 이용했는지 등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이 부분을 확인하고 Back 단추를 눌러줍니다. 우리 랩실은 기술통계량으로 화면 캡처를 합니다.

기술통계량

 

4) project에서 통계 돌릴 파일을 선택한 후 PLS-SEM 클릭

Back으로 돌아온 후 project에서 통계 돌릴 파일을 선택한 후 상단의 PLS-SEM을 클릭합니다. Model name은 임의로 작성을 합니다. 저는 test123이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이번 시간은 여기까지 작성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이어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주저리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PLS 4 두 번째 시간  (0) 2023.05.31
The Galant Tailor 2일 차  (0) 2023.05.30
The Galant Tailor 1일 차  (0) 2023.05.29
헨젤과 그레텔 20일 차  (0) 2023.05.28
헨젤과 그레텔 19일 차  (0) 2023.05.27